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장기는 무엇일까요?
잠시도 쉬지 않고 산소와 영양분을 실어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입니다.
이렇게 중요한 심장이 여러 원인에 의해 기능이 저하되면 혈액 공급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것인데요.
심장 혈관이 막히거나, 심장 근육이 약해지거나 맥박이 불안정하는 등 원인이 다양한데, 심부전이 발병하면 5년 내 60~70%가 사망에 이른다고 합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말기 심부전은 암보다 무서운 질환이지만 예방과 치료법이 발전하면서 충분히 조기 진단이 가능하고 관리할 수 질병이라고 하는데요.
과거에는 고혈압과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원인과 심장 판막 질환, 부정맥, 심근증이 주요 원인이었지만 최근에는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에 의한 심부전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당은 만성 염증 상태를 일으키고 심근과 혈관을 손상시켜 심부전을 유발시킵니다.
특별한 질환이 없더라도 나이가 들수록 위험이 증가하는데, 60~70대의 5.5% 80세 이상에서는 12%가 심부전을 진단받는다는 통계 결과도 있습니다.
과거 심장에 특별한 문제가 없었더라도 중증의 폐, 콩팥, 간, 인지장애, 자가면역 질환, 암등 기저질환이 있거나 전신 상태가 쇠약한 고령인에게서 갑자기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항암제, 알코올, 식욕억제제등의 심독성 약물에 민감한 사람이 약물에 노출되면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심부전 증상
심부전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입니다. 심부전이 발생하면 폐에 혈액이 고이는 폐부종이 나타나기 때문인데요.
초기에는 힘들게 움직일 때만 숨이 차지만, 점점 심해지면 눕거나 잠을 잘 때도 숨이 찬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발목과 종아리가 붓고 심하면 복수가 차기도 합니다.
소화불량과 심장이 빨리 뛰는 빈백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고령의 경우 경미한 인지장애가 악화되기도 합니다.
중증 심부전에서는 근육이 소실돼 기력이 달리고 움직이기 힘들어하며 입맛이 없어 체중이 빠지기도 하는데요.
전문가에 따르면 계단을 오르는게 힘들어 졌다거나 1년 전에 할 수 있던 동작을 힘에 부쳐 못하게 된다면 심부전을 의심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자신의 체력을 측정하는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요.
심부전은 중증도에 따라 병기를 분류하는데, 아무 증상 없이 심근 손상 위험 인자만 있는 초기부터 심장이식이 필요한 말기까지 모두 4단계로 나뉩니다.
심부전을 예방하는 습관
간단한 방법으로 물을 충분히 마시는 것이 심부전 발병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미국 국림 심폐혈액연구소에 따르면 성인 1만 5천여명을 그룹으로 나워 25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면 몸은 물을 아끼기 위해 심부전 발병을 유발하는 과정을 활성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권장 섭취량에 맞게 충분히 물을 보충해 주는 것이 좋은데요. 권장 섭취량은 남성의 경우 2600mL, 여성은 2100mL로 각각 하루 6~8컵 정도 수준입니다.
심부전은 여러 합병증을 동반하는 진행성 질환이지만 건강한 생활 습관과 입증된 약물 치료로 꾸준히 관리하면 진행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에 힘쓰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